나는 광고지를 읽지 않는다.
프란츠 카프카의 말이다. 그가 간파한 것은 무엇인가?"
바로 상업주의의 속임수다.
사실 사람은 유혹에 넘어갈 준비가 되있다.
프랑스 사상가 루소는 이를 풍자적으로 꼬아 말했다.
"20대는 연인에 움직이고
"30대는 쾌락에 움직이고
"40대는 야망에 움직이고
"50대는 탐욕에 움직인다.
이러한 성향을 겨냥하여 현대 상업주의는 우리 안의 과잉 욕망을 부추긴다.
텔레비전,라디오.신문.잡지,인터넷. 거리의 광고판. 문자 메시지 등 하루에도
수천만 가지 방식을 동원하여 우리에게 전하려는 메시지는 이것이다.
당신은 충분히 누리고 있지 못해요.
당신은 충분히 갖고 있지 않아요
당신은 충분히 아름답지 않아요
이러한 메시지가 잠자고 있던 욕망을 충동한다
그러니까 텔레비전에서 "궁전 아파트 선전만 나오면 갑자기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초가집처럼 보이는 것이다.
"가짜 절망의 구렁에 빠지는 것이다.
일찌기 장자는 사람의 마음이 무엇에 의해 움직이는지 꿰뚫어 간파하였다.
"질그릇을 내기로 걸고 활을 쏘면 잘 쏠수 있지만 허리띠의 은고리를 걸고 활을 쏘면
마음이 흔들리고, 황금을 걸고 활을 쏘면 눈앞이 가믈가믈하게 되느니라
외물의 노예가 될 때 마음이 흔들리고 급기야 눈앞이 가믈거리게 된다. 결국 있는 재주
도 소용없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이보다 더 고약한 유혹이 어디 있겠는가.
우리는 어떻게 현대 상업주의가 초래한 "만들어진 절망"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그 길은 "일상성 혁명"에 있다
곧 강요된 소비페턴에서 과감히 벗어나는 작은 혁명을 일으켜 보라는 것이다.
텔레비전의 현혹으로부터 유혹당하지 말고 전원을 꺼라.
자동차를 즐기지 말고 걷기를 생활화해라.
궁전 아파트에 살기만 꿈꾸지 말고 대자연이 가득한 농촌의 삶을 시도해 보라
이러한 장치로 부터 자유로운 삶을 이룬 사람은 지금 현재 행복하다.
만들어진 절망으로부터 해방된다
차동엽신부/뿌리 깊은 희망
공감/책속의 한줄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진보의 허구와 위선 ( 2회 ) (0) | 2017.11.07 |
---|---|
[스크랩] 한국인에게는 희망유전자가 있다 (0) | 2017.11.06 |
[스크랩] 놀이와 여가 (0) | 2017.11.02 |
[스크랩] 절망 가운데 가짜가 있다 (0) | 2017.11.01 |
[스크랩] 정신분석가의 조언 (0) | 2017.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