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한잔의 여유

[스크랩]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이런 말은 하지 않는다

마음나들이 2017. 10. 13. 09:00






장하준/케임브리지대학경제학교수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교육을 잘 받은 노동력은 경제 발전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교육 수준이 높기로

유명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이루어 낸 눈부신 경제력 성공과 세계에서 가장 학력이

떨어지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침체를 비교해 보면 이 문제는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지식이 부의 주요 원천이 되는 이른바 "지식 경제가 출현하면서 교육, 특히

고등 교육은 번영으로 가는 열쇠가 되었다


● 이런 말은 하지 않는다


높은 교육 수준이 국가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증거는 사실 놀라울 정도로 빈약하다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은 사람들이 더 만족스럽고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생산성 향상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또 지식 경제 시대에 접어들면서 교육이 경제 발전에 필수 요소가 되었다는 주장도

옳지 않다. 우선 지식 경제라는 개념 자체에 문제가 있다


역사적으로 지식은 언제나 부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탈 산업화와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선진국의 대다수 일자리에서 꼭 필요로 하는 지식 요건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


지식 경제에 더 중요하다는 고등 교육도 그것이 경제성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증거는 찿아보기 힘들다.


한 나라의 번영을 결정하는 것은 개인의 교육 수준이 아니라 생산성 높은 산업 활동에

개인들을 조직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사회 전체의 능력이다.


장하준/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http://cafe.daum.net/daum1000

공감/책속의 한줄








출처 : 좋은글과 좋은음악이 있는곳
글쓴이 : 공감 원글보기
메모 :